Surprise Me!

[뉴스분석]美 ‘강경파 트리오’ 포진…북미대화 험로

2018-03-23 2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리포트]<br>하태원 국제부장과 뉴스분석 이어가겠습니다. 분석 키워드부터 소개해 주시죠? <br> <br>대북강경파로 채워지고 있는 트럼프 외교안보라인을 ‘매파본색’이란 키워드로 풀어보겠습니다. 집권 1년 만에 2기 안보팀을 출범시킨 트럼프 대통령인데요. 이제야 마음에 맞는 사람들과 일하게 됐다며 흡족해 하고 있습니다. <br><br>[질문1] 열흘 전 틸러슨에 맥매스터 해고도 트위터로 먼저 알렸네요. 북미정상회담을 앞둔 시점에 키맨을 바꿔버렸네요? <br> <br>틸러슨을 폼페이오로 경질할 때 소문이 무성했지만 또 다시 전격 교체라는 충격요법을 썼습니다. 외교안보정책결정의 사령탑 격인 국가안보보좌관을 볼턴으로 전격교체한 것인데요. 트럼프 신임이 두터운 헤일리 대사를 합쳐 새로운 매파 트리오를 완성한 셈입니다. <br><br>[질문2] 존 볼턴이 어느정도 강력한 매파인건가요? <br><br>2003년 부시 대통령 시절 일화이기는 하지만 볼턴은 김정일을 폭군같은 독재자로 불렀죠. 발끈했던 북한 역시 원색적인 비난을 했고 볼턴의 북-미대화 참여가 무산된 적이 있습니다. <br> <br>과거 노무현 정부시절 볼턴과 일했던 정부 당국자들에게 좀 물어봤습니다. 천영우 전 6자 회담 수석대표는 "김정은이 제대로 된 임자를 만난 셈"이라고 했구요, 최영진 전 주미대사는 "굉장히 과격한 매파 중 매파"라고 평했습니다. <br><br>[질문3] 당장 한미정상회담, 북-미정상회담 조율에 문제가 생길 소지는 없습니까? <br><br>우려의 목소리가 있는게 사실입니다. 실제로 볼턴은 노무현 정부 시절 잦은 불협화음이 있었기 때문에 더 그렇습니다. <br> <br>가장 심각한 부분은 한반도 평화구상입니다. 우리 정부는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고 남북관계에서도 획기적 진전을 원하고 있죠. <br><br>하지만 볼턴은 생각이 좀 다릅니다. 첫째, 대북경제지원 안된다, 둘째 미북 평화조약 필요없다는 뜻을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. <br><br>[질문4] 청와대가 새길이 생기면 새길로 가야한다고 한 것도 의미심장해 보입니다. 결국 매파가 득세한 미국 외교안보라인과 어떻게 호흡을 맞춰가느냐가 중요할 것 같습니다. <br> <br>사실 맥매스터에게 공을 들여온 정의용 안보실장은 멘붕 상태일 것 같습니다. 지난해 6월 사드문제로 한미갈등이 고조될 때 맥매스터 자택까지 찾아가 5시간 담판을 가졌던 일화 유명하죠. 볼턴과 그런 정도의 끈끈한 유대를 맺는 것이 당장 쉽지만은 않아 보입니다. <br><br>[질문5] 그래도 정부는 좀 기대를 거는 눈치죠? <br> <br>전쟁이 터질 것을 염려하던 상황과는 국면이 달라졌고, 실제 정부에 들어가면 강경일변도로 갈 수 없다는 점에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. 볼튼 내정자 발언 들어보겠습니다. <br><br>[존 볼턴 국가안보보좌관 내정자]<br>"지금까지 내가 개인적으로 말한 것은 모두 지나간 일일 뿐입니다. 적어도 4월 9일 국가안보보좌관이 된다면 말입니다. 결국 트럼프 대통령이 결정하는 것이고 내가 어떤 조언을 하느냐가 중요합니다." <br><br>한반도 운명에 중요한 키를 쥐고 있는 트럼프의 눈과 귀를 사로잡을 사람입니다. 매파본색을 다스려야 겠는데요. 빠르게 핫 라인을 구축하는게 급선무일 것 같습니다. <br> <br>하태원 국제부장이었습니다. <br>

Buy Now on CodeCanyon